Vi 에디터
Vi 에디터는 전통적인 유닉스 계열의 에디터이며, Visual Editor의 줄임말이다.
Vi 에디터에서 조금 더 개선하여 자동화, 시각화 메뉴 등을 추가한 Vim(Vi improved)도 존재한다.
리눅스 셸에서 vi 에디터 설치
sudo apt-get install vim
vi 에디터 열기
- 해당 이름의 파일이 없으면 새로 생성
- 있으면 해당 파일 open
vi test.txt
저장, 종료
:wq //저장하고 종료 (write quit)
:q //종료 (quit)
vim의 4가지 모드
일반 모드
- 입력 / 명령 모드에서 [esc]를 입력하여 일반모드로 변경한다.
입력(편집) 모드
- 입력모드로 전환 : 일반 모드에서 [a], [i] 입력 (a : 커서 뒤로 입력, i : 커서 위치에 입력)
- 삭제 : 일반모드에서 커서 설정 후 [x] 입력
- 한 줄 삭제 : [dd] 입력
- [shift + j] : 현재 커서의 아랫라인을 현재 라인 뒤로 합친다.
명령 모드
일반모드에서 ' : ' 입력 후 명령어 작성
- :q - 저장하지 않고 종료
- :w - 파일 저장
- :wq - 파일 저장 후 종료
- :q! - 강제 종료
VISUAL 모드
- visual 모드로 전환 : 일반 모드에서 [v] 또는 [shift + v] 입력 (shift + v : 라인 단위 선택)
-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 복사 : [y]
- 붙여 넣기 : [p]
- 작업 취소 : [u] (윈도우의 Ctrl + z와 같은 명령)
- :0 - 커서를 맨 위로 이동(page up)
- :$ - 커서를 맨 끝으로 이동 (page down)
- 일반모드에서 /xxx : xxx를 검색
- 이후 n을 누르면 다음 xxx를 찾아서 커서 이동
반응형
'DevOps > Linux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Unix] POSIX와 Unix 계열의 표준 입출력 (0) | 2024.04.23 |
---|---|
[Linux/Unix] POSIX란? (포직스, 이식 가능 운영체제 인터페이스, Unix 표준) (0) | 2024.04.17 |
[리눅스] 파일 복사, 하드 링크와 소프트 링크 (0) | 2023.07.10 |
[리눅스] 프로세스, 상태 확인하기 (0) | 2023.07.10 |
[리눅스] 리다이렉션과 파이프, grep 명령어 (0) | 202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