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

Spring

[Spring] 의존성 주입 방법 (DI : Dependency Injection), 생성자 주입 / 필드 주입 / setter 주입, 생성자 주입을 사용하는 이유

DI :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의존성 주입은 객체 간의 의존성을 줄이고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Spring 컨테이너에 여러 컴포넌트를 Bean으로 등록하여 생명주기 관리를 위임하고, 이 Bean으로 등록한 객체를 주입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DI 덕분에 개발자가 객체 생성에 대한 부분을 신경 쓰지 않고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의존성 주입 방법 의존성 주입 방법은 4가지가 있다. 생성자 주입 Setter 주입 Field 주입 일반 메서드 주입 이 중, 생성자 주입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Spring에서 권장하는 방법이다. 생성자 주입 생성자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생성자 호출 시점에 딱 한 번만 호출되는 것이 보장된다. 불변, 필수 ..

[ Computer Science ]/프로그래밍 이론

[Spring /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제어의 역전(IoC, DI, AOP)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 스프링 프레임워크(이하 스프링)는 Java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레임워크다. 스프링은 Java 언어로 엔터프라이즈급 개발을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오픈소스 경량급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라고 불리고 있다. 여기서 엔터프라이즈급 개발은 기업환경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즉, Java 언어를 이용한 대규모의 프로젝트를 보다 쉽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것이다. 스프링의 핵심 가치는 아래와 같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기반을 제공해서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 구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여러 가지 기술을 이용하여 복잡한 요소들을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위임하고, 개발자는 비즈니스 로직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

HSRyuuu
'DI'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