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estMapping 메서드 위에 @RequestMapping("/url") 이 붙으면 /url이 호출 됐을 때 해당 메서드를 실행하도록 매핑한다. 해당 클래스가 @Controller로 지정되어 있다면 , 메서드가 String을 반환했을 때 반환 값은 view 이름으로 인식된다. @RestController로 지정되어 있다면, Rest API요청에 대한 응답 (JSON)을 반환한다. ex1) URL 다중 설정 대부분 속성을 배열로 제공하므로 다중 설정이 가능하다. @RequestMapping("/hello","/hi") public String hello(){ log.info("hello"); return "ok"; } ex2) HTTP 메소드 매핑 @RequestMapping이 특정 HTTP 메..
.properties / .yml application.properties와 application.yml 두 가지 방식은 사실 똑같다. (크게 다르지 않다.) 두가지 방식 모두 프로젝트의 설정을 담당하는 파일이다. IntelliJ에서 기본적으로 Spring Initializr를 통해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application.properties가 생성되지만, application.yml도 많이 사용되는 것 같다. 차이점 두가지 모두 똑같은 설정 정보를 입력하지만, 구조가 다르다. properties는 key=value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yml은 계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 예제로 간단하게 확인해 보자. yml group1: group2: group3: message1: h..
Spring DB 연동 Spring에서 DB 연결하는 방법을 간단히 알아보자. 1. gradle 설정 build.gradle에 아래와 같이 의존성을 추가해 주자.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JDBC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jdbc' //mariadb runtimeOnly 'org.mariadb.jdbc:mariadb-java-client' } 2. DB datasource 설정 Spring project의 application.properties에서 아래와 같이 datasource 정보를 설정해 주자..
@RequestParam, @PathVariable 기본적으로 @RequestParam과 @PathVariable을 통해 파라미터를 주고받는 방법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2023.04.21 - [Spring_Web/SpringBoot] - [Spring] @PathVariable과 @RequestParam - 파라미터 받기 그러나, 데이터의 양이 많거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드러내지 않고 싶을 때는 @RequestBody와 @RequestHeader로 JSON을 받아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RequestBody, @RequestHeader Header Content-Type: application/json userAccountId: accouunt123 ====================..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트랜잭션을 적용할 때는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을 통해 선언적 트랜잭션 방식을 사용한다. 그런데 이 기능은 매우 편리하게 트랜잭션 관련 코드를 대체해 주지만, 실제로 트랜잭션 관련 코드가 눈에 보이지 않고 AOP를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실제 트랜잭션이 적용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어렵다.이때, 트랜잭션이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라는 클래스를 활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트랜잭션 적용 확인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위의 패키지의 TransactionSync..
Lombok이란? Lombok이란 반복되는 메서드를 Annotation을 사용해서 자동으로 작성해 주는 Java의 라이브러리이다. 보통 Model, Entity의 경우 여러 속성이 존재하고, 이들의 속성들에 대해 Getter Setter 등의 메서드를 반복해서 작성해줘야 하는 경우가 많다. Lombok은 이 부분을 Annotation으로 대체하여 코드를 생성해 준다. Lombok을 이용해서 작성한 코드는 컴파일 과정에서 IDE가 Annotation을 이용해서 코드를 생성하고, 그 코드가. class에 담기게 되는 것이다. 귀찮은 반복 작업을 줄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하고, 많이 사용하지만 남용해서는 안된다. 다른 라이브러리와의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고, 내가 원하는 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
쿠키 로그인 기능이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다 보면, 로그인 시 이용할 수 있는 페이지와 그렇지 않은 페이지가 있다. 같은 화면도 로그인 이용자에게 보여줄 화면과 비로그인 이용자에게 보여줄 화면을 다르게 설정해야 할 때도 있다. 이때, 쿠키를 사용해서 로그인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loginId가 담긴 쿠키를 전달하고, 클라이언트에서는 그 쿠키를 저장해 뒀다가 HTTP 요청 시 서버로 전달한다. //Cookie 생성자 Cookie idCookie = new Cookie( String name, String value ) //HTTP 응답에 쿠키 담기 response.addCookie( idCookie ); //쿠키 삭제하는 법 idCookie.setMaxAge(0); //..
PRG 패턴 (Post-Redirect-Get) 웹 개발 패턴 중 자주 쓰이는 패턴 중 하나이다. HTTP Post 요청에 대한 응답을 다른 URL로의 GET방식으로 Redirect 하는 것이다. PRG 패턴을 사용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문제 첫 번째로, Post 요청 처리 시 새로고침으로 인해 동일한 요청이 연속적으로 보내지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Post 요청을 처리할 때, 변경이 일어나지 않는 로직이라면 상관없지만, Post로 값을 받아 무언가를 변경하는 로직이 있다면 새로고침 했을 때 그 로직이 반복 실행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두 번째로, Post 요청 처리 후 다른 페이지를 호출하는 경우 해당 페이지를 호출할 때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넘겨주지 않아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제들..